본문 바로가기
고전문학

강상문가 (한국한시)

by happyssony 2024. 9. 8.
반응형

강상문가(江上聞歌)

이안눌(李安訥)

 

江頭誰唱美人辭(강두수창미인사) 강가에서 그 누가 미인사를 부르네

正是孤舟月落時(정시고주월락시) 바로 지금 외로운 배에 달이 질 무렵에

惆悵戀君無限意(추창연군무한의) 슬프도다 연군의 무한한 정을

世間唯有女郞知(세간유유녀랑지) 세상에서 아는 것은 오직 기생뿐이어라.

<성수시화(惺叟詩話)>

 

이안눌

 

본관 덕수(德水). 자 자민(子敏). 호 동악(東岳). 시호 문혜(文惠). 1599(선조 32)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, 형조 호조의 좌랑을 역임하고 예조좌랑이 되어 서장관(書狀官)으로 진하사 정광적(鄭光積)과 함께 명나라에 다녀왔다. 안동(安東)부사를 거쳐 1623년 인조반정 때 예조참판이 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, 일찍이 특진관으로 있다가 조정의 일에 시비를 가려 극언하여 고관들의 미움을 사 사직했다.

 

청나라 사신이 사문(査問)하러 왔을 때 실언(失言)한 일로 인해 북변으로 귀양갔다. 정묘호란 때 용서받아 왕의 피란처인 강화부유수(江華府留守)가 되었다가 형조참판 함경도관찰사를 지내고 1632(인조 10) 주청부사(奏請副使)로 명나라에 가서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(定遠君)의 추존을 허락받아 원종(元宗)이라는 시호를 받아왔다.

 

그 공으로 예조판서에 오르고 전장(田莊)을 상으로 받았다. 1636년 병자호란 때 왕을 남한산성에 호종하였다. 죽은 후 청백리에 녹선되고 좌찬성에 추증되었다. 시문에 뛰어나 이태백(李太白)에 비유되었고, 글씨도 잘 썼다. 문집에 동악집이 있다. (두산세계대백과 EnCyber)

 

감상

이 작품은 강 위에서 여인이 부르는 송강(松江)의 미인곡을 듣고, 인걸(人傑)은 가고 노래만 남은 인생 무상의 회포를 읊은 시이다.

반응형

'고전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암가 (가사)  (0) 2024.09.08
강촌 (중국한시)  (3) 2024.09.08
강남봉이구년 (중국한시)  (1) 2024.09.07
감군은  (0) 2024.09.07
가시리 (속요)  (1) 2024.09.07